728x90
외부에서 데이터를 입력 받아야 할 때 (텍스트의 모음이라던가 수치의 모음) 보통 ini 나 텍스트파일 등
사용을 하곤 하는데 최신의 언리얼3 게임들의 사례를 볼 때 그들은 모두 Achetype 을 이용해서 데이터를
입력하고 있었습니다... 기획자들도 정적데이터를 입력할 때 언리얼 에디터를 통해서 작업을 했을 것이다
라고 짐작 할 수 있죠... 상용의 엔진이라면 기획자들이 원하는 포맷의 파일을 언리얼 패키지로 바꿀 수
있는 콘솔 명령어 같은 것을 만들어 주는 것도 가능하겠죠 (예를 들면 엑셀이나 XML 데이터 모음을 콘솔
명령어 창에 명령어와 파일명을 입력함으로써 패키지가 생성이 되는...) :)
소스상에 클래스 구조만 잡아 줍니다.. 그냥 Object 로 부터 상속 받기만 해도 액터 클레스 뷰어에는
보여지게 됩니다...
컨텐츠 브라우저에서 Actor Classes 를 고르고 내가 원하는 Achetype 을 선택, 우클릭 하면 생성 가능.
자.. 잘 생겼네요 저 같은 경우에 npc 대사에 활용했지만, 퀘스트라던가 판매물품목록, 아이템 조합 레시피
등 모든 정적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검색기능이나 주석, 보기 편한 인터페이스 등 에디터의
것을 사용함으로써 자연히 얻어지는 것들이 있습니다
실제 입력~ 직접 컨트롤 해야하는 것을 var() 로 하고 건들 필요 없는건 () 를 지워서 복잡함을 줄이는게 좋겠죠
기획자들도 바로 작업해서 바로 작업한 내용을 실행해서 볼 수 있지요 @_@..
728x90
'프로그래밍 > Unreal Engine 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PS 만들기 (1) (0) | 2012.06.07 |
---|---|
UDK > IDE (0) | 2012.05.23 |
레벨 스트리밍 (2) (0) | 2012.04.13 |
Level Streaming (0) | 2012.04.02 |
FootPlacement (0) | 2012.03.23 |
댓글